"쥐젖, 집에서 혼자 떼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빅파마씨에요.🧑🏻⚕️ 저번 포스팅에서 쥐젖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봤죠? 그렇다면 이번에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쥐젖 제거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릴 거예요. 가끔, '이거 뭐 별것도 아닌데 그냥 손으로 떼어버릴까?' 생각을 하시고 손톱으로 뜯어 내시는 분들이 종종 있어요. 절대 비추합니다! 쥐젖이 뜯긴 자리에서 피가 나고 염증까지 생겨 병원 신세를 지게 되실 수 있어요.😔
작고 별것 아닌 것 같지만, 쥐젖은 ‘제거 방법’을 제대로 알아야 하는 피부 질환입니다. 잘못 건드리면 감염, 흉터, 반복 재발까지 겪을 수 있어요.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보여도 무자비한 홈 케어는 오히려 독을 낳을 수 있어요.😭
쥐젖 제거, 정말 필요할까?
일반적으로 쥐젖은 대부분 건강에는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양성 종양입니다. 필수적으로 제거를 꼭 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제거를 권장드려요.👊🏻
• 미용상 신경 쓰일 때
• 크기가 커져 의복이나 액세서리와 자주 마찰될 때
• 반복적으로 자극받아 출혈, 통증, 염증이 생길 때
• 빠르게 커지거나 수가 급격히 늘어날 때
효과적으로 쥐젖을 제거하는 방법 5가지
아래 방법들은 의학적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진 시술들이에요. 지금 당장 쥐젖 제거가 필요하시다면, 가까운 피부과에 내원하시어 전문이와 상담을 통해 알맞은 방법을 선택해 보세요.👌🏻
1️⃣ CO₂ 레이저 제거
가장 흔하고 효과적인 방법이에요.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이용해 조직을 정밀하게 증발시켜 제거합니다.
• 통증: 국소 마취로 거의 없음
• 흉터: 최소화
• 시술 시간: 5~10분 이내
• 회복 기간: 3~7일
🚨 TIP. 전문의 소견
레이저는 주변 조직 손상을 줄이면서도 깊이 조절이 가능해 흉터를 최소화합니다. 특히 목, 눈가 같이 노출되는 부위엔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2️⃣ 전기 소작법 (Electrocautery)
고주파 열을 이용해 조직을 태워 없애는 방식입니다.
• 빠른 제거 가능
• 작은 쥐젖에 적합
• 통증은 있으나 국소마취로 조절 가능
• 회복 시 약간의 딱지 형성
3️⃣ 냉동 치료 (크라이오테라피)
액화 질소를 이용해 쥐젖 조직을 얼려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 피부색이 진한 사람에겐 색소침착 위험 있음
• 반복 시술이 필요할 수도 있음
4️⃣ 수술적 절제
칼이나 가위를 이용해 쥐젖을 잘라내는 방법입니다. 대개 크기가 크거나 넓은 부위에 퍼져 있을 때 사용합니다.
• 출혈이 있을 수 있어 소독과 지혈이 중요
• 봉합이 필요한 경우도 있음
5️⃣ 자가 제거? 절대 비추!
실로 묶기, 손으로 뜯기, 민간요법(애기똥풀, 마늘 등)은 감염, 피부 괴사, 흉터, 재발 위험이 크며 피부 자극 반응을 유발할 수 있어 피해야 합니다. 오히려 불필요한 피부 손상으로 병원 신세를 질 수 있어요.
🚨 TIP. 사례
민간요법으로 제거 후, 접촉성 피부염이나 2차 감염으로 병원 치료를 받는 환자가 많습니다. 특히 애기똥풀은 자극성 독성물질로 피부 화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쥐젖 제거 후 주의사항
아무리 병원에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쥐젖을 제거해도 관리가 필요합니다. 점과 검버섯 제거와 같이 적극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재발 가능성, 흉터 등 원치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시술 부위는 일주일간 물에 닿지 않도록 주의
• 자극적 세안, 스크럽, 사우나는 피하기
• 항생제 연고 도포 및 자외선 차단 필수
• 딱지를 억지로 떼지 말고 자연 탈락을 기다리기
• 과도한 마찰이나 압박은 회복 지연 원인이 됨
마무리 - 쥐젖 관리는 일상에서부터!
쥐젖, 작다고 가볍게 여기셨다면 다시 생각해보세요. 잘못된 자가 제거는 흉터, 감염, 재발의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안전하게 제거하는 것!
😳 혹시 쥐젖으로 고민해본 적 있으신가요?
댓글로 여러분의 궁금증을 남겨주세요! 😊
'질병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쥐젖, 자가(셀프) 제거의 위험성 (1) | 2025.04.01 |
---|---|
쥐젖은 뭘까? '쥐젖' 생기는 원인 (2) | 2025.03.31 |
통풍 초기 증상 그리고 발가락 통증 (0) | 2025.03.25 |
통풍은 왜 생길까? 바람만 스쳐도 뼈를 깎는 느낌의 통증 (3) | 2025.03.24 |
신경치료 후 통증이 생기는 이유와 관리 방법 (0) | 2025.03.18 |